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가축 전염병 예방 행동요령 – 축산 농가 필수 가이드

by 보랏빛글송이 2025. 3. 19.
반응형

 

 

소들을 둘러보는 수의사

가축 전염병은 한 번 발생하면 빠르게 확산되어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치명적인 가축 전염병은 예방이 최선의 대응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기본 행동요령과 농가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방역 수칙을 정리하였습니다. 축산업을 운영하는 분들은 반드시 숙지하고 실천해 주세요! 🐄🐖🐔

축사

 

📌 가축 전염병 예방 기본 원칙

가축 전염병은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농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3대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외부인 및 차량 차단 – 가축 농장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하여 감염원 유입을 방지
철저한 소독 및 위생 관리 – 농장 내·외부, 장비, 가축의 위생을 철저히 관리
조기 발견 및 신속 신고 – 이상 증상이 보이면 즉시 방역 당국에 신고

외부인 차단

💡 TIP:
정부 방역 지침 준수 – 축산업 종사자는 정부가 정한 방역 기준을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 가축 전염병 예방 행동요령

1. 농장 출입 통제 및 방역 강화

외부 차량 및 사람의 출입을 최소화
✔ 농장 입구에 소독 발판(석회) 및 차량 소독시설 설치
✔ 방문객이 출입할 경우 방문 기록 작성 및 소독 후 입장
✔ 농장 근무자는 외출 후 반드시 샤워 및 옷·장화 교체 후 작업

소독시설 설치

💡 TIP:
외부에서 돌아온 후 같은 옷과 신발을 착용한 채 축사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2. 가축 사육 환경 위생관리

✔ 매일 가축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증상이 있는 개체 즉시 분리
✔ 가축 사료, 물통, 축사 내부를 정기적으로 소독 및 청소
✔ 축사 내 해충·쥐 등의 외부 전염원 차단
✔ 농장 주변의 야생동물 및 철새 접근 차단

사육 환경 위생관리

💡 TIP:
특히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해 겨울철에는 철새 도래지 방문을 삼가고, 사육장 출입 시 철저한 소독 필수!

 

 

3. 가축 전염병 발생 시 신속 신고 및 대응

✔ 가축이 고열, 설사, 식욕부진 등 이상 증상을 보이면 즉시 신고(☏ 1588-9060 / 1588-4060)
✔ 전염병 발생 시 해당 지역 이동 제한 및 출입 통제 준수
✔ 방역 당국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조치하고, 다른 농가에 전파되지 않도록 협조

방역

💡 TIP:
신속한 신고와 대응이 다른 농가로의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주요 가축 전염병별 예방 수칙

전염병주요 증상예방 방법
구제역(FMD) 물집(입·발), 식욕부진, 고열 백신 접종, 출입 통제, 철저한 소독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고열, 피부 출혈반점, 갑작스러운 폐사 야생멧돼지 접근 차단, 잔반 급여 금지, 출입 차량 소독
조류인플루엔자(AI) 기침, 호흡곤란, 산란율 저하 철새 도래지 방문 금지, 사육장 소독 강화
소 브루셀라병 유산, 관절염 정기적인 백신 접종 및 혈청검사
돼지열병(CSF) 고열, 식욕부진, 설사 백신 접종, 돼지 간이농장 출입 제한

💡 TIP:
✅ 정부에서 제공하는 예방 백신을 정기적으로 접종하고, 가축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세요.
✅ 바이러스 확산이 의심될 경우 농장 자체 격리 조치를 우선 시행하세요.

 

🏢 정부 지원 및 신고 방법

전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에서는 축산 농가를 위한 방역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방역 물품 지원 – 소독약, 방역복, 석회 등 제공
백신 접종 비용 지원 – 구제역, 브루셀라병 등 필수 백신 지원
방역 교육 실시 – 축산업 종사자 대상 정기 방역 교육 운영

 

전염병 신고 전화:

  • 1588-9060 / 1588-4060 (가축방역본부 신고센터)
  • 가까운 시·군·구청 축산 관련 부서에 문의 가능

백신접종

💡 TIP:
방역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사전 등록 및 방역 교육 이수가 필요할 수 있으니 관할 기관에 미리 확인하세요.

 

🎯가축 전염병 예방, 철저한 방역이 최선입니다.

가축 전염병은 한 번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사전 예방과 철저한 방역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농장 출입 통제 및 차량·사람 소독 철저
가축의 상태를 매일 점검하고 이상 발견 시 즉시 신고
철새 도래지 및 외부 감염원과 접촉 차단
정기적인 백신 접종 및 방역 조치 준수
정부 방역 지침을 철저히 따르고, 방역 교육에 적극 참여

전염병 예방

 

🐄🐖🐔 축산 농가 모두가 함께 철저한 방역 수칙을 실천하여 건강한 가축을 보호하고, 전염병 확산을 막아야 합니다! 💪

 

🚨 구제역(FMD) 완벽 정리! 원인, 증상, 예방 및 대응 방법

최근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 발생이 잇따르면서 축산 농가 및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구제역은 소, 돼지, 염소 등 우제류(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가축

shring7000.com

 

 

반응형